담마 16

담마에 대한 이해 13

이 생에서 마음으로 인해 생기는 괴로움(삘라나)은 무엇이고 그리고 해결방법은? 1. 얻고자 하는 것(부, 명성, 건강 등)을 목표로 나아가는 것 -> 중도 2. 타인으로 부터 비난에 따른 것 -> 나의 잘못된 행위면 반성하고 아니면 그로 부터 멀어져라. 3. 타인과의 비교에 따른 정신능력/부/명성/건강 등의 열등감에 대한 것 -> 정신능력 : 인내와 집중으로 노력하라 -> 부 : 중도 -> 명성 : 타인을 위해 자연스럽게 생기는 것이 아니면 도덕적/세간적 삶을 생각하라 -> 건강 : 악화되는 조건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라

담마 2023.12.04

담마에 대한 이해 11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고 있을때 집중은 하고 있으나 논리적으로 생각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는데 얼마간의 시간이 지난 후에 문제가 풀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떠오르는 생각은 문제를 푼게 나 아니면 누군가? 즉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정확히 알수 없으나 문제는 풀리고 있다. 어떤 생각이 트리거되면 자동적으로 내가 정확하게 통제하지도 않는데 그 과정은 진행되고 있다. * Dhammo ha ve rakkhati dhammacāri

담마 2023.11.10

담마에 대한 나의 이해 9

* 붓다 담마 섹션에서 인간 마음의 힘에 대한 요약 (1) 31 존재계에 있는 인간이 우리 세상을 바라볼때 한계 ~ 보통 인간의 마음은 보통 인간의 감각 영역 내에서 작용하므로 본질적으로 우리 세계에 대한 완전한 이론을 줄 수 없습니다. -> 시스템 내부에서 시스템의 완전한 ‘진리’ 또는 ‘완전한 설명’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 괴델의 불완전성 원리 ) ~ 붓다의 마음은 우리의 감각 경험을 초월하여 존재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 닙바-나에 도달하시자, 붓다께서는 ‘바깥에서 보실’ 수 있었고 ‘그것들을 있는 그대로 보실’ 수 있었습니다. (2) 자-나 ~ 31계 영역에서 경험될 수 있는 citta는 89가지(또는 체계에 따라 121가지) ~ 자-나(jhāna)는 행복한 육체적, 정신적 감각을 줄 수..

담마 2023.07.05

담마에 대한 나의 이해 8

* 대통합 이론 중에서 (1) 한마디로 : 원인으로 일어나는 궁극적 실재로 구성된 유정체가 존재하는 31계 세상 및 무한한 은하계에서 시작과 끝이 없는 생명흐름(연기)은 닙바나로 사라진다. (2) 우리 세상 (3) 인간계 ~ 정신적인 몸(manōmaya kaya)과 육체적인 몸(karaja kaya)으로 구성 -> 마노마야 까야(간답바) : 트리자 까야(thrija kaya)( kammaja kaya, cittaja kay, utuja kaya) : 트리자 까야(thrija kaya)의 세가지 요소는 육체의의 죽음 후에 깜마에너지가 사라질때까지 계속됩니다. -> 까라자 까야 : 인간의 육체를 떠나 간답바 상태로 있을때는 아로마(kabalinkā āhāra)를 영양소로 조밀해짐 ~ kammaja kaya ..

담마 2023.06.29

담마에 대한 나의 이해 7

* 담마짝깝빠왓따나 숫따에 있는 둑카 삿짜(dukkha Sacca)(첫 번째 성스런 진리) 세 구절 ~ 요약 (1) 태어남은 괴로움이고, 늙는 것은 괴로움이며, 병드는 것은 괴로움이고, 죽는 것은 괴로움이다. ; 우리가 괴로움의 형태로 간주하는 것 ; 모든 태어남은 재탄생을 의미하고 이를 따르는 로병사는 괴로움니다. -> 재탄생 과정(연기)에서 일어난다. -> 미래의 재탄생은 미래에 다가올 괴로움 -> 현생의 탄생은 현생의 괴로움 ; 늙지 않고, 병들지 않고, 영원히 죽지 않으면, 우리는 영원히 행복할 것입니다 -> 니짜 특성 (2) 싫어하는 것과 관련되는 것은 괴로움이고, 좋아하는 것에서 떨어지는 것은 괴로움이다. ; 위를 간단히 하면 "얌삣창 나 라바띠 땀삐 둑캉" -> 좋아하고/갈망하고/바라는 것을..

담마 2023.06.21

담마에 대한 나의 이해 6

* 세 단계 실천 : 첫 번째 성스런 진리 - 한 측면의 간단한 설명에서 요약된 내용입니다. * 현재 삶에서 단기적 고통 -> 현재의 삶의 방식이나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나 생각으로 인해 생기는 고통이 있습니다. -> 우리 고통의 상당 부분은 마음으로부터 옵니다. (1) 다른 사람들에 대한 증오나 미움을 통제함으로써 가까운 미래에 있을 고통(괴로움)의 큰 부분을 없앨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이 나에게 나쁜 말을 했을 경우의 예 ; 상대방에 대해 생각하고 계획하는 활동에 보낸 모든 시간은 마음에 짐이 되었습니다. 단지 그것을 되씹고 더 증오스런 생각을 함으로써 더 많은 고통만 자초함. ; 상대방이 우리에게 어떤 잘못을 행했을지라도 대부분의 고통은 우리 자신이 만든다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 해결 ..

담마 2023.06.15